네이버가 지난 3월 네이버 쇼핑을 메인으로 한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를 출시했다.
특히, 검색 비중이 높은 쿠팡과 달리 "초개인화 쇼핑"이라는 슬로건에서 알 수 있듯 AI를 기반으로 한 쇼핑 가이드, 추천영역, '발견'이라는 새로운 코너를 신설하면서 자연스럽게 상품을 탐색하는 경험을 강화했다.
AI는 네이버가 개발한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방대한 상품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자의 선호도, 과거 구매 이력, 맥락 및 의도 등의 정보와 결합하여 관심이 갈 만한 상품을 우선 추천하고 구매 결정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혜택을 제안한다.
네이버 플러스 스토어를 차근차근 파고들면서 앱의 특징과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한다.
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특징
1. 홈 화면
UI적인 측면으로 봤을 때 기존 네이버 쇼핑과 네이버+스토어는 큰 차이 없이 유사하지만, 쇼핑앱에 최적화 하기 위해 상단바에 알림을 배치하고 앱전용 특가 탭, 그리고 신설된 발견 탭을 찾아볼 수 있었다.
조사 초기 시점에는 네이버+앱에서는 키워드 순위가 노출되지 않았는데 오늘(6/5) 다시 확인해보니 인기/신규/이슈 등 키워드 순위가 앱에서도 똑같이 노출되었다. 다만 앱을 실행할 때마다 노출되는 키워드(인기/신규/이슈)가 랜덤으로 달라진다.
2. 숏 폼 컨텐츠로 쇼핑 경험 강화
"발견" 탭에서는 고객의 행동기반 알고리즘에 맞춰 숏 폼 형태의 컨텐츠를 제공한다. 앱 실행 시 자동으로 숏폼이 재생되며, 숏폼에서 자연스럽게 제품 상세페이지로 넘어가는 경험을 할 수 있다.
3. 앱 혜택 페이지
신설된 앱이기 때문에 신규 사용자를 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. 기존 네이버 대비 앱의 혜택을 알려주는 네이버+스토어 앱의 혜택을 알려주는 페이지도 찾을 수 있었다.
4. AI기반 추천 서비스 제공
FOR YOU, AI쇼핑 가이드 등 초 개인화를 위한 AI가 도입되었다. 상품 검색 시 AI추천 키워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정확히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. 하지만 모든 제품에 이런 AI 추천 키워드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AI추천 기능이 존재하는지, 개인화 맞춤이 되고있는지 인지하지 못할 것이다. "초개인화" 슬로건에 맞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AI 알고리즘 강화와 정확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.
또한 개인화 기반 카테고리 정렬도 찾아볼 수 있었다. 카테고리 순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닌, 사용자의 행동 기반으로 순서가 배열되는 것을 찾아볼 수 있었다. 추가로 "관심있는" 카테고리도 노출되었다.
개선할 부분
1. 상세페이지 로딩 시간 속도 개선
상세페이지나 장바구니, 찜한 상품 등 몇몇 페이지의 로딩 속도가 다소 느린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. 비록 많은 시간이 걸리지는 않지만 이런 작은 경험들에서도 이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속도 개선이 필요해보인다.
2. 찜한 상품 한눈에 확인 불가
네이버+는 장보기만을 위한 쇼핑앱이 아닌 다양한 카테고리를 지닌 종합몰이다. 즉, 다양한 상품군을 다루는 만틈 찜하기 기능은 필수적일 것이다. 보통 이커머스 플랫폼을 보면 하단바에 찜한 상품을 볼 수 있도록 한다. 하지만 네이버+는 검색 탭만 두군데서 볼 수 있었다.
찜 상품을 보기 위해서는 마이쇼핑으로 들어가 찜한 상품을 선택해야 하는 뎁스를 거쳐야 하고, 필수 기능인 찜하기가 눈에 띄지 않아서 신규 사용자들은 앱을 둘러봐야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 사용자의 효율적인 앱 사용경험을 위해서는 하단바에 찜 메뉴를 추가하여 한눈에 알아보기 쉬운 UX를 설계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.
다만 네이버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들이 하단바 검색탭을 많이 사용하는지, 상단바 검색바를 많이 사용하는지 확인해보고 기능 수정이 들어가야 할 것이다.
나아갈 부분
지금까지 네이버+ 스토어의 특징과 개선점을 짧게나마 살펴보았다. 네이버 +스토어가 초개인화 쇼핑을 지향하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아직 앱의 존재와 개인화 추천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. AI를 활용하여 맞춤형 쇼핑경험을 제안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데이터들이 필요하고, 관심사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들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.
다음 글에서는 네이버+스토어 앱 사용자를 대상으로한 설문 결과를 토대로 앱과 AI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알아보려고 한다.
네이버(주) 보도자료 l NAVER Corp. Press Releases
보도자료 News
네이버 보도자료 수록 Press Releases
www.navercorp.com
'서비스 기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비스 기획자가 하는 일 (0) | 2025.05.21 |
---|